HomeResearchFICS 업종 구분

FICS 업종 구분

FnGuide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FICS) 관련 설명 자료입니다.
FICS의 개발 배경
FnGuide Sectors Classifications

기존의 산업분류 체계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분류의 기본 기준이 Product 위주여서 산업간 연계성 및 거시경제 동향이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습니다.


한편, 포트폴리오 투자를 위해서는 업종배분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Portfolio 분석에 의미 있는 업종 분류가 필수적입니다. 정교한 산업분류는 상대평가 모형들에 의한 기업 가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정기업의 성과를 업종평균과 의미 있게 비교하여 기업을 분석하거나, 투자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Portfolio의 통상적인 성과요인 분석이나 Style 분석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외 선진기관들은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한 검증된 산업분류를 제시함으로써 고객이 투자분석, Portfolio 투자, 자산배분 등의 Process에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FnGuide 역시 이와 같은 목적 하에,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최신 산업분류의 기본 원칙에 입각하여 국내의 모든 상장법인을 사업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있습니다.

FICS의 구조
FICS는 10개의 Economic Sector와 25개의 Industry Group 그리고 62개의 Indust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Fama-French Factor Model 6가지 분류 모델
Sector(10)Industry Group(25)Industry(62)
에너지에너지에너지 시설 및 서비스, 석유 및 가스
소재소재화학, 건축소재, 용기 및 포장, 금속 및 광물, 종이 및 목재
산업재자본재건축자재, 건설, 전기장비, 복합 산업, 기계, 무역, 조선
상업서비스상업서비스
운송항공운수, 해상운수, 육상운수, 운송인프라
경기소비재자동차 및 부품자동차부품, 자동차
내구 소비재 및 의류내구소비재, 레저용품, 섬유 및 의복
소비자 서비스호텔 및 레저, 교육
미디어미디어
유통도소매, 온라인쇼핑, 백화점
필수소비재음식료 및 담배음료, 식료품, 담배
생활용품가정생활용품, 개인생활용품
의료의료장비 및 서비스의료장비 및 서비스
제약 및 바이오바이오, 제약
금융은행상업은행, 상호저축은행
기타금융창업투자 및 종금, 소비자 금융
보험보험
부동산부동산
증권증권
IT소프트웨어인터넷 서비스, IT 서비스, 일반 소프트웨어, 게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통신장비, 휴대폰 및 관련부품, 셋톱 박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전자 장비 및 기기, 보안장비, 사무기기
반도체반도체 및 관련장비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및 관련부품
통신서비스통신서비스유선통신, 무선통신
유틸리티유틸리티전력, 가스